44 1 0 3 0 1 23일전 0

철학자들이 말하는 예술 1

태초에 감동이 있었다. 인간은 진리에, 선함에, 아름다움에 감동하면서 인간이 되었다. 인간은 무엇보다도 아름다움에 감동하면서 자신의 영혼에 감격하고, 비로소 인간다운 인간이 되기 시작했다. 그렇게 인간은 스스로 감격하는 그만큼 인간 자신이 되었다. 지구는 뜨거워지는 반면, 인류의 감동은 식어가고 있다. 감동이 식어갈수록 인간은 자기 자신마저 낯설어하고 있다. 인간이 자신 안의 아름다움마저 낯설어하면, 자신 밖의 모든 아름다운 것들에 대해서도 낯설어 할 것이다. 세상사 아름다운 것과 자기 자신에 대해 낯가림하는 인간을 치유할 수 있는 것은 무엇보다도 그 시대의 아름다움과 사람다움을 격려하는 예술일 것이다. 그리스 철학자들은 ‘아름답고 좋은 사람’들이 재미로 하는 예술에 대한 철학적 가치를 어떻게 ..
태초에 감동이 있었다. 인간은 진리에, 선함에, 아름다움에 감동하면서 인간이 되었다. 인간은 무엇보다도 아름다움에 감동하면서 자신의 영혼에 감격하고, 비로소 인간다운 인간이 되기 시작했다. 그렇게 인간은 스스로 감격하는 그만큼 인간 자신이 되었다.
지구는 뜨거워지는 반면, 인류의 감동은 식어가고 있다. 감동이 식어갈수록 인간은 자기 자신마저 낯설어하고 있다. 인간이 자신 안의 아름다움마저 낯설어하면, 자신 밖의 모든 아름다운 것들에 대해서도 낯설어 할 것이다. 세상사 아름다운 것과 자기 자신에 대해 낯가림하는 인간을 치유할 수 있는 것은 무엇보다도 그 시대의 아름다움과 사람다움을 격려하는 예술일 것이다.
그리스 철학자들은 ‘아름답고 좋은 사람’들이 재미로 하는 예술에 대한 철학적 가치를 어떻게 경험하고 어떤 말을 했을까? 그리스 철학자들이 재미 삼아 시, 음악, 미술, 희극과 비극, 무용, 조각 등에 대해 주고받은 담론을 현대인들은 예술철학 내지는 미학이라고 부른다.
그리스철학자들이 재미삼아 하는 일과 경험에서 시작된 예술에 대한 담론은 크세노폰의 동문이던 플라톤, 플라톤의 제자 아리스토텔레스 그리고 마지막 그리스 철학자이자 신플라톤주의를 만들어낸 플로티누스로 이어졌다. 여기서는 이러한 그리스 철학자들의 일생, 사상, 저술업적을 간추려보고, 그들의 철학 가운데서 예술과 아름다움에 대해 말한 핵심 문헌을 선별하여 소개한 다음에 간단한 해설을 덧붙여 볼 것이다.
광주가톨릭대학교와 경북대학교 대학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프라이부르크Freiburg대학교 철학부에서 토마스 아퀴나스의 인간행위론 연구로 1992년에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93년 교육부·한국학술진흥재단의 재외한국인 초빙교수Brain pool로 귀국하여, 대구가톨릭대학교 철학전공 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명예교수다.

2002년에는 독일어 저서 『신의 모상과 인간의 본성』(Chang-Suk Shin, Imago Dei und Natura hominis. Der Doppelansatz der thomistischen Handlungstheorie, Wurzburg: Konigshausen u. Neumann, 1993)이 독일 프라이부르크대학교의 철학부와 신학부 교재로 선정된 바 있다. 2008년에는 번역·해설서인 프란체스코 삼비아시의 『영언여작』(공역, 2007, 일조각)이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었다.

저서로는 『중세 여성철학자 트리오』(일조각, 2021) 『빛 속에서 보다 – 성녀 힐데가르트 이야기』(Hildegard, 2020), 『성공적 행위를 위한 테마철학』(대구가톨릭대학교출판부, 2001), 『씨앗은 꽃에 대한 기억이므로』(도서출판 사남, 2005), 『예술에 대한 철학적 담론』(대구가톨릭대학교출판부, 2008) 등이 있다. 역서로는 『토마스 아퀴나스, 그는 누구인가』(분도출판사, 1995), 『스콜라철학의 기본개념』(분도출판사, 1997), 『중세철학이야기』(서광사, 1998), 『철학의 거장들 1』(공저, 한길사, 2001), 『인식의 근본문제』(가톨릭출판사, 2007), 『대이교도대전 1』(분도출판사, 2015) 등이 있다.

연구논문으로는 「토마스 아퀴나스에 있어서 학문론의 철학적 근거: 추상과 분리」(『중세철학』 창간호, 1995), 「제일철학의 아포리아」(『철학연구』 제58집, 1996), 「영혼과 육체의 상호작용에 대한 형이상학적 근거」(『철학논총』 제27집, 2002)를 비롯하여 약 70여 편을 발표하였다.
철학자들이 말하는 예술1 내용이 훌륭하고 포장도 깔끔합니다. 굿입니다.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